韩国国字

(마) 한국에서만 쓰이는 한자



일부 한자의 경우 한국에서 만들어져서 한국에서만 쓰이며 일반적으로 자전에서는 이를 국자(國字)라고 표기한다. 이들 중에는 음역자가 포함되며 또한 자형은 중국이나 일본과 같으나 의미(훈)가

중국·일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도 있다.

乫: 땅이름 갈
垈: 터 대
畓: 논 답
乭: 이름 돌
乶: 음역자 볼
乷: 음역자 살
倻: 가야 야
串: 곶 곶(중국·일본에서는 이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娚: 자매가 남자 형제를 부를 때의 호칭 남(중국·일본에서는 이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媤: 시집 시(중국·일본에서는 이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현재까지 밝혀진 국자는 189자이며, 이것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유니코드에 없는 한자의 경우 파자하여 나타내었다. +는 좌우 결합, /는 상하 결합을 나타낸다.


䪪(가), 㔖(각), 乫(갈), 㠰(갈), 㐓(갈), 㖙(갓), 㔔(강), 㖋(갯), 㖎(갯), 艍(거), 巪(걱), 乬(걸), 㐦(걸), 迲(겁), 㤼(겁), 㥘(겁), 唟(것), 㐿(격), 碶(계), 侤(고), ীŽ(고), 古/乙(골), 㐔(골), 蓇(골), 㐣(골), 䯩(곱), 古/巴(곱), 蒊(곳), 廤(곳), 㖛(곳), 㖜(곳), 串(곶), 㹰(광), 㐇(굴), 㐝(굴), 㖌(굿), 櫷(귀), 㐎(글), 怾(기), 㐞(길), 㐟(길), 㖝(끗)


娚(남), 㭆(내), 㐐(놀), 㐗(놀), 㖈(놈), 莻(늦)


੟(달), 畓(답), 垈(대), 襨(대), 獤(돈), 乭(돌), 堗(돌), 㐑(돌), 㘏(돗), 䢏(두), 㪲(둑), 䜳(둔), 乧(둘), 㐙(둘), 㐈(둘), 㖍(둣), 㪳(둥), 㖰(똥), 㖯(똥), 㐢(뜰)


亽(라), 囕(람), 㚓(래), 㳣(로), 䭜(료)


亇(마), 㐃(마), 䲈(마), 㭐(말), 唜(말), 馬/乙(말), 䰶(망), 䱩(망), 椧(명), 朰(몰), 乮(묠)


㮽(반), 环(배), ॵ”(배), 苩(백), 㖱(뱀), 浌(벌), 䃼(복), 㶱(본), 乶(볼), 巭(부), 㖚(붓), ং¹(비), 榌(비), 㗠(비), 兺(뿐), 哛(뿐), 角/乙(뿔)


䣉(사), 橵(산), 厁(산), 虄(살), 乷(살), 㐊(살), 栍(생), 閪(서), 㵛(선), 鐥(선), 縇(선), 㐥(설), 䥹(설), 乴(설), 螦(소), 㸴(소), 乺(솔), 松/乙(솔), 㕾(솟), 稤(수), 䢘(수), 㴍(승), 媤(시), 篒(식), 伩(신), 㐘(쌀), 㘒(씻)


厑(앳), 羘(양), 㫇(억), 乻(얼), 欕(엄), 旕(엇), 㖳(엿), 㖲(엿), 筽(오), 㐏(올), 乯(올), 㐚(올), 夞(욋), 㳓(우), 䋅(우), 㐛(울), ࠃ—(울), 㐕(율), 㐠(율), 㗡(잇)


啫(자), 橴(자), 䎞(작), 乽(잘), 㗯(잣), 欌(장), 硳(적), 猠(전), 㐉(절), 岾(점), 䰳(정), 曺(조), 䆆(조), 㐒(졸), 㐍(졸), 䑸(종), 乼(줄), 㗟(줏), 嗭(짓)


乲(찰), 橻(추)


伲(탁), 㭦(택), 㯑(탱), 㐋(톨), 吐/乙(톨)


巼(팟), 闏(팽), 䭏(편), 坪/乙(펼), 喸(폿)


兯(한), 爲/{令-人-一}(한), 䥜(한), 乤(할), 呼/乙(홀), 乥(홀), 夻(화), 㢿(후), ࣖ”(후), 遤(휭)

기타
忄+出+凶(음 미상)

[편집] 음역자

해당 한글의 발음 또는 뜻을 가진 한자에 한글이나 한자로 받침을 쓰는 방식으로 표기를 한다. 대표적인 예가 돌(乭: 石+乙), 볼(乶: 甫+乙), 살(乷: 沙+乙) 등과 같은 글자들이다. 예외의 한자가 있으니 바로 뿐(ㅅ+분(←ᄲᅮᆫ): 叱+分: 兺 또는 哛)이라는 한자다. 음역자의 상당수는 이두에 사용된다.

음역자의 구성 원리
ㄱ 받침은 ㄱ 그대로 쓴다. 예: 㔖 각
ㄹ 받침은 ㄹ 그대로 쓰거나 乙로 대치해서 쓴다. 예: 㐓 갈
ㅁ 받침은 ㅁ 그대로 쓴다. 예: 㖈 놈
ㅂ 받침은 邑이나 巴로 대치해서 쓴다. 예: 䯩 곱
ㅅ 받침은 叱로 대치해서 쓴다. 예: 㖙 갓
ㅇ 받침은 ㅇ 그대로 쓴다. 예: 㔔 강
吾乃東風也 初次見面 請多關照
吾名前者東風候 初候而目掛枡 何卒宜相願候
僕의 名銜은 東風이다. 잘 付託합니다
吾乃東風也 初次見面 請多關照
吾名前者東風候 初候而目掛枡 何卒宜相願候
僕의 名銜은 東風이다. 잘 付託합니다
這些字基本上生活中都不會出現吧。

「畓」字作爲閩南話濕田 lam tshan 的 lam 字在檳城有用。
反切:
頭字,管調性(陰陽),管聲母。
尾字,管調類(平上去入),管韻母。

1 陰平;2 陰上;3 陰去;4 陰入
5 陽平;6 陽上;7 陽去;8 陽入

一筆一劃皆財富,
識繁識簡通今古。
我只知道用“乙”来表示尾音 l
,   
,   
,   
  

真剣にやると、知恵が出る。

Ĉiu rajtas lerni la gepatran lingvon,kaj la internacian lingvon.

namah samanta buddhanam vajra me

微博  http://weibo.com/bambooheng
原帖由 此君 於 2010-5-22 00:13 發表
我只知道用“乙”来表示尾音 l
所以hangul 最标准的写法应该是 韓㐎 글 訓讀 暫時是收集到了五種 章書詩文契 大體可以知道這個字表達的意思 吏讀字用:㐎
吾乃東風也 初次見面 請多關照
吾名前者東風候 初候而目掛枡 何卒宜相願候
僕의 名銜은 東風이다. 잘 付託합니다